도움이 되는 주식 용어 설명

이미지
주식용어모음과 설명 * 가격역지정 주문 (stop order) 투기성 투자를 즐기는 투자자가 시세가 매매위탁 당시의 시세보다 상승하여 자기의 지정가격을 넘어설 때는 지체 없이 해당 주식을 매도할 것을 위탁하는 것 . 역지정가주문이라고도 한다 . 역지정가주문은 투자자의 시세관에 따라 어느 종목의 주가가 어느 일정한 가격 주문을 넘어서면 폭등할 것으로 믿거나 일정 가격 수준 이하로 내려서면 폭락할 것으로 예상되었을 때 그 큰 장세에 의한 이익을 얻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 그러나 이것은 시장 질서를 교란하고 공정가격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우리 증시에서는 법으로 이를 금지하고 있다 . * 가격우선의 원칙 (priority of best quotation principle) 증권시장의 경쟁매매에 있어 호가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으로서 파는 경우는 낮은 가격을 , 사는 경우는 높은 가격을 우선한다는 말이다 . 시간우선의 원칙 , 수량우선의 원칙과 함께 쓰인다 . * 가수급 주식을 사려는 자금이나 팔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자금이나 주식을 빌려 사고 파는 이른바 공매를 말한다 . 이는 신용거래를 통하여 적절히 도입되면 매매량과 환금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주가의 안정에도 크게 도움을 주지만 가수급이 과다하면 과당 투기를 유발할 부정적인 측면을 역시 가지고 있다 . * 가장매매 (wash sale) 실제로 주식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면서도 주가를 조작하거나 투자자 자신의 손실을 회피할 목적으로 하는 매매 거래 . 이는 일반투자자들을 속이기 위하여 매매거래가 활황인듯이 보이게 조작하는 시세조종으로서 사고 파는 행위를 혼자 했을 경우 가장매매 ,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이 다른 경우를 통정매매라 한다 . 법으로 금지됨 . * 간사회사 (manager) 유가증권의 발행인으로부터 의뢰를 받고 유가증권의 인수와 모집 , 그리고 매출주선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회사로서 증권회사 , 은행 , 단자회사 , 종합금융등이 있다 . 발행되는 유가증권은 전량 혹은 일...

환영의 방패 나쓰메 소세키 작품

 

◆줄거리

白城의 기사의 윌리엄과 夜鴉의 성주의 딸 클라라는 연인 사이이다. 사이가 좋았던 두 집안은 연회 중 사소한 말다툼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가 악화되어 결국은 전쟁으로까지 번지게 된다. 기사인 윌리엄은 클라라와의 사랑과 군주에 대한 충성심 사이에서 갈등을 하게 된다. 윌리엄의 친구인 시월드가 전쟁 전에 클라라의 구출 계획을 세우지만 그마저 실패하게 되고 결국 白城의 승리로 전쟁은 끝이 나게 된다. 현실세계에서 클라라는 죽게 되지만 영원한 사랑을 갈구 하는 윌리엄은 방패의 신비한 힘을 빌려 남쪽나라 즉 이상세계에서 빨간 옷의 여자를 만나게 되고 현세에서 이루지 못한 둘의 사랑이 이루어지게 된다.



 


(1) 一心不亂と云ふ事を、目に見えぬ怪力をかり、縹たる背景の前にしださうと考へて、この趣向を得た。

󰡒(한 일)(마음 심)(아니 불)(어지러울 난)󰡓⇒ 한마음이 변함이 없다

- 一心不亂 은 이 작품에서 현세에 이룰 수 없는 윌리엄과 클라라의 사랑을 ‘눈에 보이지 않는 괴력’ 즉, 방패의 신비한 힘을 통해 환상 세계에서 이루게 되는 사랑의 결정체이다.

⇒ 사랑에 대한 지고지순을 나타내며 바로 이소설의 주제를 나타낸다.

but..표면적: 지고지순의 사랑

내재적: 나쓰메 소세끼의 심리 반영.

현실에서의 지고지순은 불가능 환영의 세계에서라도 이루려함.

근거: 나쓰메 소세끼가 전처와의 불화로 인한 현실세계에서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그의 문학 세계속 환영이라는 제 2의 세계에 자신의 바램 투영함!!

 

- 많은 것을 축약시켜 놓고 있는 듯한 서두로 나쓰메소세끼의 작품에 대한 지나친 의욕이 엿보여진다. (데뷔 초기 작품으로서 지나친 의욕으로 문학적 이론 앞세워 작자 화자 등장 인물 거리 조정 실패)

 

- 이 소설의 원천이 된 자료가 구체적으로는 나타나 있진 않지만 2년의 영국 유학 시절 받았던 유학적 감흥을 동양적인 색채로 그려내 있다,

(일본 전통 문화 서구 근대 문학 정신의 차이를 동양적인 시각으로의 접근)

 

- 나쓰메 소세끼의 자기본위가 투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소세끼의 많은 작품에서 주제로 내세운 것은 ‘애정의 모럴’이라 할 수 있으며, 통속에 빠지지 않고 ‘자기본위’ 입장에서 실험적으로 추구한데 그 특징 이 있다.)

ex:;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집주인 꾸샤미 자신의 분신 으로 지목되고 그 밖의 인물 또한 자신 주변의 사람들)

 

(4) 路を扼する侍は武士の名を藉る山賊のなものである。

☞관점 One(내용상으로 봤을 때)

별다른 동기유발도 없는 그 시대 기사들이 성행했던 것으로써, 뚜렷한 이유 없이 싸움을 벌여 나름대로 군주와 나라를 위한다는 명분을 건다. 이에 윌리엄과 클라라의 순결한 사랑에도 결코 비켜갈수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

 

관점 Two(작가의 집필 배경으로 봤을 때)

일본 전통 문화 VS 서구 근대 자본주의 발상 ⇒ 두 사이에 괴리감, 부정적 표출

(한 길 장악해 그 길 지나는 무사들에게 싸움 걸어 갑옷 투구 말 등을 모두 몰수

근대 자본주의 발산 일반적 횡포 거부 내지 부정적 표출)

 

(17) 若し其薄黑く潮風に吹き曝された角窓の裏に一人物を畵き足したなら死龍は忽ち活きて天に騰るのである。點晴に比すべきものは何人であろう、ヰリアムは聞かんでも能く知つて居る。

☞용을 그리는데 눈동자도 그려 넣는다는 뜻(화룡점정).

①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시킴. 끝손질을 함. 즉 사소한 것으로 전체가 돋보이고 활기를 띠며 살아남의 비유. 가장 중요한 부분이란 바로 클라라를 말한다.

② 동양적 모티브

- 서양에서의 용 : 뱀과 같은 몸에 발톱이 있는 발이나 날개를 갖추고 화염(火炎)을 토 하는 동물로 신화 속에 등장하는 영웅들의 투쟁의 대상

=> 사악한 짐승으로 받아들여짐

- 동양에서의 용 : 왕자(王者)나 위인과 같은 위대하고 훌륭한 존재로 비유됨

=> 신성시 여김

, 작품의 서두에서 일본의 이야기로 고쳐 쓰지 못하였다고 밝힌 것과 달리 동양의 관점 에서 용을 보고 그 만큼 클라라를 신성시 하고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18) 只髮の毛は今の樣に金色であつた……ヰリアムは又內懷からクラの髮の毛を出して眺める。クラはヰリアムを黑い眼の子、 黑い眼の子と云つてからかつた。クラの說によると黑い眼の子は意地が惡い、人がよくない、猶太ユダヤ人かジプシイでなければ黑い眼色のものはない。

☞ 클라라 - 금발 : 밝음, 서양, 우위

↕ 夏目漱石의 『문학론』중 <대치법> , 대조론을 사용

윌리엄 - 검은 눈 : 어두움, 동양, 하위

=> 금발과 검은 눈이라는 색채의 대조를 통해 융화가 어렵다. , 두 사람의 미래가 밝지 못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복선의 역할과 동시에 夏目漱石가 유학생활에서 느꼈던 열등 의식이 잘 표현되어 있다.

 

(36) 日を捨てず夜を捨てず、二六時中繰り返す眞理は永劫無極の響きを傳へて、劍打つ音を嘲り、弓引く音を笑ふ。百と云ひひひ千と云ふ人の叫びの、果敢なくて憐むべきを罵るときかれる。去れど城を守るものも、城を攻むるものも、おのが叫びの纔かにやんで、此深き響きを不用意に聞き得たるときづかしと思へるはなし。

☞ 이 작품이 쓰여진 시기는 명치38(1905), 러일 전쟁 당시로 소세키는 윌리엄을 통해 전쟁으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 인간 소외문제 등을 비난.

, 소세키의 전쟁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52) 「戀に 口惜しき命の占を、盾に問へかし、まの盾」 ................ヰリアムは無言の儘盾を抱いて、池の緣に坐る。

☞♧사랑에 애타는 자여...생명의 점을 방패에게 물어볼지어다......

-윌리엄은 방패를 꽉 끌어았고 무언인채로 계속 방패를 주시하게 됨.

-끌어안는 행위 : 윌리엄=방패

-윌리엄=방패라는 논리는 현실(현재적 삶)이 곧 환상(죽음)이고 환상(죽음)이 곧 현실(현재적 삶)이라는 논리로 직결- 순간에 둘이 하나가 되는 세계로 이끌어낸다. 이건은 순간과 영원의 서로 통하여 등가치를 지닌다고 할수있는 <노장사상>이 짙게 배어있다고 말할수있음.

 

-♣생()은 죽음의 동방자요, 죽음은 생의 시작이다... 어느것이 근본임을 누가 알겠는가. ()과 사()는 별개의 것이 아니고 한가닥 끈이라 생각하고 또 가()와 불가(不可), 즉 시비·선악은 같은 것이라 본다. 이런 관점에 서있는 사람에게는 인생을 속박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장자

-융의 『원형과 집단 무의식』에서 윌리엄을 분석

①그림자(인간 무의식적 자아의 어두운 측면)

윌리엄은 방패를 가진 선택된 자. 방패만 있으면 모든 것을 다 해결해 준다라는 것을 안다 하지만 그런 무의식속에서는 클라라를 지키지 못한 방패를 보고 “그대 나조차도 저주하는가 ” 라는 말등을 통해서 여전히 방패를 믿지 못하고 거리를 두며 의심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윌림엄이 방패를 끌어안은 행위를 통해서 해소된다.

②퍼스나(사회의 가면)

하얀성의 성주를 섬기는 기사로서 전쟁을 치르고 승리를 하는 기사의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사실은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 클라라와 도망가려는 계획을 세웠다.

③아니마 (남성안의 여성상)

그는 겉으로는 용감한 기사지만, 사실 방패를 두려워하고, 클라라의 머리카락을 품속에 넣어두는 섬세함이 있다.

 

(55) 「赤だ」とヰリアムは盾の中に向かつて叫ぶ。「白い帆が山影をぎつて、岸に近づいてる。三本の帆柱の左右は知らぬ、中なる上に春風を受けて棚引くは、赤だ、赤だクララの船だ」

☞원래 전쟁에서 이기면 클라라를 구출 할 경우는 붉은 깃발을, 실패했을때 흰깃발을 올리도록 되어 있었다. 하지만 붉은 깃발을 보게되었고 이것은 그의 염원이 이루어진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정상의 세계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이미 현세가 아닌 다른 세계임을 확실히 말해주는 대목이지만 현세에서 이루지 못한 것을 이루게 됨을 의미한다.

 

 (57)是は盾の中の世界である。而してヰリアムは盾である。

☞마지막 부분에 방패 속의 세계이며 이리하여 윌리엄은 방패라는 대목이 인상깊다. 여기는 방패 안이며 이리하여 윌리엄은 방패이다. 이 부분은 윌리엄이 죽어서 이루었다는 것에 대한 강한 묘사부분이다. 방패는 희생을 동반하여야 소원이 이루어진다. 윌리엄의 강한 사랑의 소원은 이루어졌으나 그 희생의 대가로 윌리엄은 죽음을 맞이하였다. 사랑의 이룸에 죽음조차 두려워하지 않은 윌리엄의 본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사랑에 대한 강렬하지만 조용한 서술로 마무리 짓는 기교로 보인다.

 

(58) 水臭い麥酒を日に浴びるより、舌を燒く酒精を半滴味はう方が手間がかからぬ。

☞에필로그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작가의 생각을 좀 더 강하게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싱거운 맥주를 매일 마시는 것보다 강렬한 소주를 마시는 것이 수고가 덜 든다고 하는데 이것은 작가의 상대적인 시간관념의 면을 볼 수 있다. 순간도 영원할 수 있다는 논리는 한정된 물리적 사랑을 한 시간도 의미적으로는 영원한 사랑과 그 가치가 같을 수 있다는 해석을 내릴 수 있다.

 

정리

-방패의 거울의 기능과 그 의미

-왜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깔았는가?

-어째서 방패인가?

-작품내에서의 죽음과 삶의 의미(사생관)

 

매력 및 한계점

★ 문장묘사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이국적인 배경과 시대배경에서 작가의 상상력을 엿볼 수 있다.

환상과 로맨티시즘에 가득 찬 작품이다.

일본현실의 영에 대한 관념을 다르게 해석한 작품이라 볼 수 있다.

☆ 아름다운 문장의 묘사에 치우쳐 내용적인 빈약함을 가져왔다.

소재자체가 단순하고 현실성과는 괴리가 있다.

일본과 동떨어진 서구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독자와의 거리를 두고 있다.

문학사적 의의

유럽중세의 이야기의 등장인물을 화자의 꿈의 세계로 끌어들이는 수법적인 새로움.

나츠메 소세키의 작품 중성적 황홀에 대해 쓴 유일의 작품이며 작가로서의 가능성을 여러 유형으로 만들어 내보이고 있다. 또한 영문학적인 교양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으며 작품 배경묘사가 탁월하다.

총평

 

1)    이 작품을 읽고 분석하며 서양의 영문학의 영향으로 아름답고 세련된 로맨틱함과 환상, 동양의 신비로운 색채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작품인 것 같고, 한 편의 시를 감상하는 것처럼 이미지가 연상되는 것은 환상의 세계에서 사랑을 이룬다는 작가의 의도에 독자가 더욱 빠져들 수 있게끔 만드는 것 인상을 받았다. 이 작품을 통해 현실의 세계에서 환상의 세계로 가 사랑을 완성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책을 덮는 순간까지 절대적 사랑과 환상의 신비로움을 나도 함께 한 것 같은 착각이 들었다.

 

2)     시대배경이나 판타지적 세계관을 고려했을때 새로운 느낌을 주고 나츠메 소세키의 다양한 작품적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형식과 문장의 아름다움을 꼽을 수는 있지만 그에 반하여 내용적 내용이 빈약하고 그다지 공감을 주지 않는다. 나츠메 소세키라는 위대한 작가의 이름을 빌렸다는 표현을 들고 싶다. 나츠메 소세키라는 작가를 염두에 두면 여러의미를 부여할 수 있지만 이 작품 자체도 그다지 작가의 중요한 작품이 아니고 큰 의미의 작품은 아닌 듯 싶다.




◉정리


-방패 거울의 기능과 그 의미


-왜 중세시대를 배경으로 깔았습니까?


-왜 방패입니까?


-작품 내에서의 죽음과 삶의 의미 (사생관)


 


◉ 매력 및 한계점


★문장묘사의 아름다움을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국적인 배경과 시대적 배경에서 작가의 상상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환상과 로맨티시즘으로 가득 찬 작품입니다.


일본 현실의 영에 대한 관념을 다르게 해석한 작품이기 때문에 볼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문장의 묘사에 따라 내용적인 빈약함을 가져왔습니다.


소재 자체가 단순하여 현실성과는 괴리가 있음.


일본과 동떨어진 서구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독자와의 거리를 두고 있습니다.


◉ 문학사적 의의


유럽 중세 이야기의 등장인물들을 화자의 꿈의 세계로 끌어들이는 새로운 기법입니다.


나츠메 소세키의 작품 중성적 황홀에 대해 사용한 유일한 작품으로 작가로서의 가능성을 많은 유형으로 만들어 내어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영문학적인 교양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으며 작품 배경 묘사가 탁월합니다.


◉ 총평

1)가 작품을 읽고 분석하여 서양의 영문학의 영향으로 아름답고 세련된 로맨틱함과 환상, 동양의 신비한 색채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작품인 것 같고, 한 편의 시를 감상하는 것처럼 이미지가 연상되는 것은 환상의 세계에서 사랑을 이룬다는 작가의 의도에 독자가 더 빠져들 수 있도록 만드는 것 인상을 받았다. 이 작품을 통해 현실의 세계에서 환상의 세계로 가서 사랑을 완성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책을 덮는 순간까지 절대적 사랑과 환상의 신비감에 저도 함께 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시대 배경이나 판타지적 세계관을 고려했을 때 새로운 느낌을 주어 나쓰메 소세키의 다양한 작품적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형식과 문장의 아름다움을 손가락으로 꼽을 수는 있지만 그에 비해 내용적 내용이 빈약하여 그다지 공감을 주지 않는다. 나쓰메 소세키라는 위대한 작가의 이름을 빌렸다는 표현을 가지고 싶다. 나쓰메 소세키라는 작가를 염두에 두면 여러 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지만 이 작품 자체도 그다지 작가의 중요한 작품은 아니고 큰 의미의 작품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애드센스

텐핑광고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도움이 되는 주식 용어 설명

우리가 알고 있는 한국동요는 대부분 일본동요다

권력자, 자기중심의 늪